https://www.youtube.com/watch?v=5JZZ2sqaWKc
수마트라 서부 마을 시준중(Sijunjung)은 수마트라 서부의 최대 도시인 파당(Padang)시에서 차로 약 3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물소들의 전통 경기인 파추 자위(Pacu Jawi)로 유명한 따나 다타르(Tanah Datar)와는 차로 약 2시간 정도 거리다.
수마트라 서부 마을 따나 다타르(Tanah Datar)에 전통 투우경기인 파추 자위(Pacu Jawi)가 있다면 시준중(Sijunjung) 마을에는 까바우-까바우(Kabau-kabau)'가 있다~~
수확이 모두 끝난 논이 아이들, 아니 청년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논벼를 눕혀 논바닥을 평평하게 다지고, 준비된 통나무배에 올라 청년들이 온힘을 다해 통나무 썰매(?)를 끌어당긴다.
전통 투우경기인 파추 자위의 놀이방식을 가져온 것으로, 시준중 마을에서는 논바닥에서 즐기는 썰매 놀이(?)가 되었다.
물소 대신 사람이 통나무 썰매에 올라.논바닥을 달린다~~
논바닥 흙이 마치 머드 같지만, 성분은 다르겠지? ㅎㅎ
탄두악춤은 잠부 리포(Jambu Lipo) 왕국의 전통 춤으로, 왕실의 손님을 맞거나 나가리 루북 타록(Nagari Lubuk Tarok) 사람들에게 Bakawuah 의식을 치를 때 추던 춤이다.
춤의 내용으로는 미낭까바우(Minangkabau)의 파코 섬(Pulau Paco) 부족과 메당 카물란(Medang Kamulan) 왕국 사이의 물소 경기 등이 담겨 있다.
시준중 사람들은 란섹(Lansek)강에서 전통 어로 방식을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다.
이 방식은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전통 방식으로, 도구로는 대나무로 만든 간단한 장치인 루카(Lukah)를 이용한다.
마을 사람들은 일주일에 2~3차례 정도 이런 방식으로 물고기를 잡는다.
잡은 물고기로는 우리나라의 고사리와 같은 야채를 섞어 간단한 음식을 만들어 함께 나눈다.
화면에서 보는 가옥과 의상은 수마트라 서부 지역의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이 보존된 문화마을이다.
이곳에는 76채의 오래된 가옥들이 그대로 보존돼 있는데, 이 가옥보다 더 독특한 시준중의 문화가 하나 있다.
바로 전통 방식 그대로 직조하는 시준중만의 독특한 옷감이다.
수마트라 서부의 다른 옷감들과 달리 이곳의 옷감은 어두운 색을 사용하지만 그런 색을 통해 오히려 우아하고 매력적으로 보이게 한다.
일반 옷을 만드는 천의 가격은 30만 루피아 정도지만, 결혼식 등의 의상인 송켓(songket)용 천은 50만~60만 루피아 정도에 달한다. 디자이너 패션쇼 등에 사용되는 독특한 문양과 특별 주문의 경우는 370만 루피아까지도 가격이 올라간다.
크람빗(Kerambit)은 인도네시아의 전통 무기로, 작고 귀엽게 생겼지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을 정도로 위험한 무기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크람빗은 미낭까바우(Minangkabau)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후 해적들에 의해 자바, 말레이 반도 등 여러 곳으로 퍼져 나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람빗의 모양은 수마트라 숲의 호랑이에서 따온 것으로 활처럼 굽어진 형태인데 톱니처럼 작은 홈들이 파여 있다.
크람빗은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인기가 좀 시들한 편이지만 해외에서는 더 환영받고 있다 한다.
실제로 미군들은 크람빗을 개인 무기로 필수 지참한다고 한다.
시준중 지역은 다양한 수림으로도 유명한데,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나무는 망고나무(asam gelugur)다.
망고나무는 보통 요리의 신맛을 내는데 사용되는데, 시준중에서는 이것을 차로 만들었다.
망고나무 잎을 모아 깨끗이 씻어준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준다.
그리고 나서 몇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조된 잎을 곱게 빻아준다.
이제 포장만 하면 판매될 차 상품이 완성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망고나무는 HCA(하이드록시 구연산, Hydroxycitric acid)를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고혈압을 낮추는 등 많은 효능을 갖고 있다 한다.
수마트라 섬 내 시준중 위치
[수마트라 북부] 수마트라 사모시르섬 (Pulau Samosir) (0) | 2023.01.05 |
---|
댓글 영역